이런 체계가 좋다.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을 도출하고,
해결책을 실행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세마science의 느낌이 물신난다.
"한국도 2010년 기준 사망 환자수가 2,000명 이상이고, 새로운 결핵 환자가 3만 5,000명 발생하여 전체 환자수가 17만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결핵 환자 보유비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2016년부터 의료기관 종사자의 결핵검진과 잠복결핵검진을 의무화했고, 고등학교 1학년 학생과 만 40세 국민은 건강검진에서 잠복결핵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게 했으며, 징병신체검사에도 잠복결핵검진을 추가했다." (15~6쪽)
* science = ciencia = наука =셈하는 학문 = 셈학 => 셈막 => 세막 => 세마
우리나라 결핵 환자는 일제 수탈의 결과다.
일제 36년 동안 철저하게 수탈당한 대한국민들은 1950년대에도 기력을 회복하지 못하고,
결핵환자수가 130만명에 이르렀다.
꾸준한 노력으로 2020년 현재 45,000명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발병된 환자들이 해방후 치료되었지만 여전히 보균자로 유지되고 있다가, 다시 발병하고 감염을 일으킨다. 우리나라의 발병율과 유병율이 여전히 세계 최고수준으로 유지되는 이유다. 일제 강점기 한민족의 참상이 현재의 결핵 환자수로 증명되고 있다.
https://kmbase.medric.or.kr/KMID/0614720060490090762
https://kmbase.medric.or.kr/KMID/0614720060490090762
결핵-한국의 결핵실태 및 관리체계 Current Situation of Tuberculosis and Its Control in Korea 김희진, 소속 상세정보 김희진 ( ) -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기술협력부(Department of Technical Cooperationn Institute
kmbase.medric.or.kr
1. 집단질병의 공포를 몰아낸 비타민
비타민 B1의 발견과 1929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에이크만
"(1498년) 바스쿠 다가마가 아프리카에서 인도로 갈때는 (중략) 계절풍을 등에 업고 갔기 때문에 20여일만에 (중략) 되돌아올때는 130일이 넘게 걸렸고, (중략) 중간기착지가 없었고, 이 때문에 괴혈병scurby가 선단을 덮쳐서 많은 선원이 희생되었다. (중략) 감귤류의 과일을 먹거나, 양배추를 발효신킨 사워크라우트sauerkraut처럼 신음식을 섭취하면 괴혈병 위험이 줄어든다.
(중략) 네덜란드가 지배하던 인도네시아의 감옥 (중략 / 의사 에이크만) 교도소별로 각기병 발생빈도를 조사한 보더만의 도움으로 에이크마은 도정을 더많이 한 쌀을 소비한 교도소가 각기병 발병빈도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중략) 유럽인이 걸리지 않는 병이라는 이유로 지나쳤던 다른 연구자와 달리, 뭇사람의 문제로 접근했던 에이크만의 노력이 빛을 본것이다.
(중략 / 1912년) 풍크가 비타민 가설을 내놓았다. 풍크는 각기병Beriberi(B1)뿐아니라, 펠라그라Pellagra(B3), 괴혈병Scurvy(C), 구루병rickets(D) 등이 특정한 필수영양소의 부족 (중략) 생명과 관련된vital 아민amine (중략) B1은 아민이지만, 다른 비타민은 아민을 함유하지 않는 것ㅇ로 나중에 밝혀졌다. 그래도 vitamine이란 단어는 처음 형태에서 e만 빠진 vitamin으로 남았다." (14~22쪽)
티아민(thiamine, vitamin B1)은 C₁₂H₁₇N₄OS+의 분자식을 갖고 있다. 웃긴다. 탄소 12개, 수소 17개, 질소 4개와 산소와 황 하나. 이런 원자들의 결합이 없다면 심장기능이 떨어져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단다. 믿기지가 않는다. 어떻게 하면 믿을 수가 있을까. 탄소 12개, 수소 17개, 질소 4개, 산소와 황의 결합.
vitamin B1을 티아민이라고 하는 이유는, 티오Thio는 그리스어 θεῖον에서 유래한 단어로, 이는 황sulfur를 뜻한다. 화학에서,Thio라는 접두어는 황 원자가 포함된 화합물에 사용된다.
* 노벨상 선정 기관
1)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 노벨의 유언에 따라 노르웨이 의회에서 임명, 평화상
2) 카롤린스카연구소 : 1810년 설립된 의과대학의 연구소, 생리의학상
3) 스웨덴 왕립과학원 : 물리학상, 화학상, 경제학상(300년 기념 스웨덴 중앙은행상) .
A | 레티놀 Retinol / 망막 Retina | 체다치즈, 소간 | 시력, 엘라스틴 생성, 면역력 |
B1 | 티아민 Thiamine / Thio (그) 황 | 쌀겨, 현미, 콩, 고기, 견과류 | 신경과 근육기능 유지 |
C |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 A+scurby 괴혈벙 | 과일, 야채 | 노화방지, 면역력, 피로회복 |
D | 칼시페롤 Calciferol / Phero (라) 운반하다 | 버섯, 식물성우유, 두부 | 뼈, 염증, 심혈관 |
E | 토코페롤 Tocopherol / Tokos (그) 출산 | 아몬드, 올리브유, 시금치, 고구마 | 피부건강, 면역력, 눈, 신경 |
비타민 D는 햇볕을 쪼이면 피부에서 합성된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햇볕 중에서 자외선 ultra-violet이 비타민D를 합성한다. 어떻게? 해리 스틴박 Harry Steenbock 1886~1967은 식품에도 자외선을 쪼이면 비타민D 함량이 증가한다고 한다. 도대체 어떻게?
"유기체는 살아 있거나 죽어서나 자외선을 받으면, 비타민 D 전구체를 비타민 D로 바꾸는 것이다. (중략 / 자비로 특허를 출원한 스틴박은) 위스콘신동문연구재단에 특허를 넘겼다. (중략) 퀘이커 오츠에서는 비타민 D가 강화된 시리얼을 상품화하여, 대학과 기업이 함께 발전하는 성공사례를 남겼다. " (25~6쪽)
* 비타민D 전구체 :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
자외선은 파장 λ=350nm~1nm, 주파수 f=900THz~300PHz의 전자기파다.
자외선의 에너지를 구하는 공식은 간단한 산수다. 단위만 복잡할 뿐이다.
일단, 자외선의 대표 파장을 100nm라고 하면,
1) c=f λ f=c/λ
2) f = 3x10⁸m/s ÷ 100 x 10⁻⁹m
E = hv = hxc÷λ = 6.626x10⁻³⁴J.sx(3x10⁸m/s)÷100x10⁻⁹m = 6.626 x 10⁻³⁴ J.sx3x10^17
≒ 19×10^−17J
1) E = energy in Jules(J)
2) v = frequency/sec
3) h = Planck's constant = 6.626x10^-34J.s
4) λ = wave length
* 1Å = 10의 10빼곱m = 10^-10m = 0.1nm
* 자외선 ultraviolet ray
* 파장 λ wave length
* 주파수 f (=진동수, freqency)
* 전자기파 electromagnetic wave
미약한 힘이지만, 자외선의 에너지가 무지막지한 양으로 끊임없이 유기물에 함을 주면, 뭔가 변화가 일어나는 모양이다.
자외선에 의해 비타민 D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그것이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작용할까? 그것을 알아야 한다.
빛은 전자기파이고, 빛의 파장은 1과 100으로 이해하면 된다.
감마선 1Å 엑스선 100 Å 자외선 400nm 가시광선 700nm 1㎛ 적외선 100 ㎛ 전파
* 진동수의 단위 또는 반도체 용량의 단위
: 킬로 - 메가 - 기가 - 테라 - 페타 - 엑사 - 제타 - 요타
티아민과 티민을 헷갈리는 바람에 핵염기nucleobase까지 나가버렸다. 일단 이곳에 기록해 두었다가 나중에 필요한 곳으로 옮기자. 그런데, 아데닌의 분자구조에서 H의 숫자가 2개 부족하다. 나머지 2개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아, C-H의 결합이 일어나는 곳에서는 H를 생략해서 그렸다. 그림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02 당뇨병 치료의 서막을 연 인슐린
인슐린의 발견과 19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밴팅
쌀과 밀로는 부족했던 식량문제를, 감자-고구마-옥수수라는 작물을 도입함으로써 해결했다.
봄에 심는 감자와 고구마는 거의 병에 걸리지 않아서 농약의 도움이 없이도 키울수 있다.
고구마와 옥수수는 거름이 적어도 잘 자라서 수확을 거둘수 있다.
이런 밭작물들이 뭇사람을 배고픔과 굶주림에서 벗어나게 했다.
구황작물이라는 말은 뜻이 전달되지 않는다.
배두작물이라고 해야겠다.
배가 불러서 배를 두들기게 하는 작물.
"아메리카 대륙으로부터 감자와 옥수수가 도입되면서 (중략) 부자가 앓던 당뇨병이 대중에게로 번져나간것이다. (중략) 당뇨는 단오줌이라는 뜻으로 질병의 결과로 드러나는 지표라면, 소갈은 질병으로 인해 몸이 반응하는 증상" (28~9쪽) d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