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올린으로 푸른 옷소매 green sleeves와 세 번째 아리랑을 연습하다가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풍물이나 , 오카리나, 리코더를 연습할 때는 무조건 악보를 외웠다. 장구나 쇠를 칠 때, 악보를 외우던 습관을 옮겨온 것이기도 하고, 음악에 집중하려면 악보를 외워야 한다는 생각도 있어서 그렇게 해왔다.
When I practiced the Samulnori, ocarina, or recorder, I always memorized sheets. I have done so because I have been accustaned to memorizing sheet when playing Jango or Shae(a Korean small iron drum), and I also think that I need to memorize sheet in order to concentrate on music.
바이올린을 배우러 갔는데, 가자마자 악보를 주고 연주하라고 한다. 악보의 수준도 높아서 다장조나 바장조가 아니라, 복잡한 음계와 중간중간 음이 변하는 악보들이었다. 지난 10개월 동안 머리와 손이 혼란스러울 정도로 정신이 없었다. 그런데, 오늘 뭔가 되는 느낌이 들었다.
I go to learn the violin for the first time, and the teacher give me a sheet and asked me play it. The level of music was also high for me. They were not in C major or F major, but on complex scales and changing notes in them. For the past 10 months, I have been confused. But, today I felt like something was going on.
두 곡 모두 좀 쉬운 곡이고, 활질이 어느 정도 익숙해지다 보니, 악보를 보면서 연주를 하는 묘한 재미가 생겼다. 악보를 외워야 하는 스트레스도 없다. 악기 연주의 색다른 재미를 느끼게 되었다.
Because both songs are a little bit easy and as I got used to bowing to a certain extent, I had a special fun in playing the sheet. There is no stress of memorizing sheet. I got a different kind of fun playing an instrument.
지난 금요일 TBS 뉴스공장에 출현한 피아니스트 임현정이 즉흥 신청곡을 받아서 연주를 하는데, 모르는 노래가 나오자, 악보를 보면 바로 연주를 할 수 있으니 악보를 구해 달라고 한다. 왠지 그녀가 다른 세상의 사람처럼 보였는데, '나도 열심히 하다 보면 처음 보는 악보도 연주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꿈같은 꿈을 꾸게 되었다.
Pianist Lim Hyun-jung, who appeared on TBS News Factory last Friday, received an impromptu requests and plays them. When a song she didn't know comes up, she asks staffs to get the sheet, then she played the song right away. For me, She was seemed to be a strange person. But I had a dreamy dream that if I try hard, I also would be able to play sheet that I had never seen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