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이야기/사는 이야기

2023년에 눈여겨 봐야 하는 것들_221124 el veinticuatro de noviembre el jueves_двадцать четыре ноябрь Четверг

전염병이 가까운 미래를 결정하는 힘이었던 2년이 지나고, 이제 주요 동인은 우크라이나 전쟁이다. 앞으로 몇 달 동안 세계는, 전쟁이 야기하는 예측 불가능한 미래와 씨름해야 한다. 국제정치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 ;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한 투쟁 ; 에너지 시장의 혼돈 ; 그리고 중국의 불확실한 포스트 팬데믹 경로.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이 모든 것들이 맞물려서 톱니바퀴처럼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음은 앞으로 주목해야 할 10가지 테마와 트렌드다.

 

After two years in which the pandemic was the force shaping the immediate future, the main driver now is the war in Ukraine. In the coming months the world will have to grapple with unpredictability around the conflict’s impact on geopolitics and security ; the struggle to control inflation ; chaos in energy markets ; and China’s uncertain post-pandemic path. To complicate matters further, all these things are tightly coupled, like an interlocking series of gear wheels. Here are ten themes and trends to watch in the year ahead.

 

5. 분열된 미국. 공화당은 중간선거에서 예상보다 더 나쁜 결과를 얻었다. 그렇지만 낙태, 총기 및 핵심 정책에 대한 사회 문화적 분열은, 커다란 논란을 일으킨 대법원 판결 이후에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의 2024년 대선출마 공식 선언은 기름을 부을 것이다.

 

5. Divided America. Although Republicans did worse than expected in the midterm elections, social and cultural divides on abortion, guns and other hot-button issues continue to widen after a string of contentious Supreme Court rulings. Donald Trump’s formal entry into the 2024 presidential race will pour fuel on the fire.

 

4. 정점에 서 있는 중국? 4월 어느 시점에 중국의 인구는 약 14억 3천만 명으로 인도에 추월당할 것이다. 인구가 감소하고 경제가 역풍에 직면하면서, 중국이 정점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논의가 예상된다. 느려진 성장은 경제 규모가 결코 미국을 추월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Peak China? Some time in April China’s population will be overtaken by India’s, at around 1.43bn. With China’s population in decline, and its economy facing headwinds, expect much discussion of whether China has peaked. Slower growth means its economy may never overtake America’s in size.

 

6. 주목해야 할 화약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과도한 관심은, 다른 곳에서의 분쟁 위험을 높인다. 러시아에 정신이 팔려, 뒷마당의 갈등이 커져가고 있다. 중국은, 대만으로 나아가기에 지금보다 더 좋은 때는 없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히말라야에서 인도와 중국의 긴장이 고조된다. 그리고 터키가 에게해에 있는 그리스 섬들을 넘볼수도 있지 않을까?

 

6. Flashpoints to watch. The intense focus on the war in Ukraine heightens the risk of conflict elsewhere. With Russia distracted, conflicts are breaking out in its backyard. China may decide that there will never be a better time to make a move on Taiwan. India-China tensions could flare in the Himalayas. And might Turkey try to nab a Greek island in the Aegean?

 

8. 보복 관광. 받아라, 코로나! 여행자들이 코로나 봉쇄 후 "보복" 관광에 참여함에 따라, 지출이 2019년 수준인 1조 4천억 달러를 회복할 것이다. 이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격 상승도 한몫을 했다. 실제 해외 여행 횟수는 16억 건으로 2019년 팬데믹 이전 수준인 18억 건보다 여전히 낮을 것이다. 기업이 비용을 줄이고 있어서, 비즈니스 여행은 여전히 부진할 것이다.

 

8. Revenge tourism. Take that, covid! As travellers engage in post-lockdown “revenge” tourism, traveller spending will almost regain its 2019 level of $1.4trn, but only because inflation has pushed up prices. The actual number of international tourist trips, at 1.6bn, will still be below the pre-pandemic level of 1.8bn in 2019. Business travel will remain weak as firms cut costs.

 

3. 기후 변화. 국가들이 에너지 확보 경쟁에 나서면서 화석 연료로 돌아가고 있다. 그러나 전쟁은 독재자가 공급하는 탄소연료에 대한 안전한 대안으로, 재생에너지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풍력과 태양광뿐만 아니라 원자력과 수소도 혜택을 볼 것이다.

 

3. Climate silver lining. As countries rush to secure their energy supplies, they are turning back to dirty fossil fuels. But in the medium term the war will accelerate the switch to renewables as a safer alternative to hydrocarbons supplied by autocrats. As well as wind and solar, nuclear and hydrogen will benefit too.

 

2. 불경기.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경기 침체에 빠질 것다. 미국의 경기 침체는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유럽은 더 심각할 것이다. 달러 강세가, 치솟는 식량 가격으로 타격을 입고 있는 가난한 나라들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고통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2. Recessions loom. Major economies will go into recession as central banks raise interest rates to stifle inflation, an after-effect of the pandemic since inflamed by high energy prices. America’s recession should be relatively mild; Europe’s will be more brutal. The pain will be global as the strong dollar hurts poor countries already hit by soaring food prices.

 

7. 꿈틀대는 합종연횡. 지정학적 변화 속에서 동맹이 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활력을 되찾은 NATO는, 새로운 회원국 두 나라를 맞이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신흥 블록인 아브라함 협정(https://muildg.tistory.com/1803)에 가입할 것인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다른 그룹에는 Quad와 AUKUS(중국의 부상에 대처하기 위한 두 개의 미국 주도 동맹), 록 밴드가 아니라 인도, 이스라엘, 아랍에미리트, 미국을 연결하는 지속 가능성 포럼인 i2u2가 있습니다.

 

7. Shifting alliances. Amid geopolitical shifts, alliances are responding. nato, revitalised by the war in Ukraine, will welcome two new members. Will Saudi Arabia join the Abraham accords, an emerging bloc? Other groupings of growing importance include the Quad and aukus (two American-led clubs intended to deal with China’s rise) and i2u2—not a rock band, but a sustainability forum linking India, Israel,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the United States.

 

https://www.economist.com/the-world-ahead/2022/11/14/ten-trends-to-watch-in-the-coming-year?utm_content=article-link-1&etear=nl_today_1&utm_campaign=a.the-economist-today&utm_medium=email.internal-newsletter.np&utm_source=salesforce-marketing-cloud&utm_term=11/15/2022&utm_id=1389989 

 

Ten trends to watch in the coming year

After two years in which the pandemic was the force shaping the immediate future, the main driver now is the war in Ukraine

www.economist.com

아브라함 협약 : https://www.voakorea.com/a/6504999.html

 

이스라엘, '아브라함 협약' 중동국과 회담..."이란 억제 중요"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모로코 외교장관이 28일 이스라엘에서 회담을 했습니다.

www.voakorea.com

아랍에미레이트를 시작으로 (이집트, 요르단), 수단, 바레인, 모로코가 이스라엘과 협정을 체결했다. 이스라엘이 주도한 것이니, 당연히 팔레스타인 인권 문제는 빠져 있고, 대이란 동맹의 틀이다. 사우디는, 이란과의 적대관계 때문에 참여하고 싶었는데, 실패했다.

 

1) 먹고 사는 문제를 근본 원인으로 해서 표면상 대이란 동맹을 내세웠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자본주의의 힘으로 먹고 살아야 한다.

2) 사우디가 참여하지 않은 것을 보면, 종교와 인권의 문제가 협정 내용에 깔려 있을 수 있다.

3) 이란으로서는 매우 곤란한 상황이겠지만, 문제의 핵심은 대미외교이기 때문에 방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터키-이란-인도-러시아-중국으로 이어지는 느슨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신경을 쓰는 것이, '아브라함 협약 Abraham accords'에 대한 전략이 된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10314340004649

 

이스라엘-아랍국 평화협정, 아랍 평화냐 분쟁의 씨앗이냐

지난 2020년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간 관계 전환점이 된 해다. 그 물꼬를 튼 것은 9월 15일,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UAE)의 평화협정(아브라함 협정) 체결이다. 공식 명칭은 '아브라함 의정서 평

www.hankookilbo.com